본문 바로가기
경제·시사

미달러 환율 1400원 넘기며 상승 중, 환율이 자꾸 상승하는 이유는?

by 지생의 경제공부 2024. 11. 23.
728x90
반응형

 

최근 트럼프 미 대통령이 당선되면서, 미국 달러 환율이 계속해서 오르고 있습니다.

미국 달러 환율이 오른다는 것은, 미국 달러의 가치가 대한민국의 원화에 비해 높아진다는 것인데,

현재 달러 환율이 계속 오르는 이유는 무엇이 있을까요?

1. 미국 기준금리의 영향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2024년에도 높은 수준의 기준금리를 유지하며, 전 세계 금융시장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이전 코로나 발로 기준금리를 급격하게 인하한 미국은 인플레이션 압박때문에, 꽤나 오랜 기간동안 미국의 기준금리를 5%이 상으로 고정했었습니다. 이는 달러화를 안전자산으로 부각시켜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선택지가 되었습니다. 반면 한국의 기준금리는 상대적으로 낮아, 금리 차이로 인해 달러 강세와 원화 약세 현상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는 외국인 자본의 유출과 더불어 환율 상승의 주요 요인이 되고 있습니다​.

2. 지정학적 리스크와 글로벌 경제 불안

지정학적 요인도 환율 상승을 부추기고 있습니다. 우크라이나 전쟁과 중동 갈등, 그리고 2024년 미국 대선에 따른 불확실성은 투자자들의 안전자산 선호를 강화시키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달러화 수요가 늘어나면서 환율이 상승하고 있습니다. 또한, 유럽과 중국 경제 둔화로 글로벌 경기 회복이 지연되면서, 달러화는 더욱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즉 세계적으로 어떤 거시적 이슈가 터졌을 때, 기축통화인 미국의 달러의 가치가 높아집니다.

 

3. 국내 경제 요인의 영향

한국 내에서는 반도체 수출 감소와 무역수지 적자가 원화 가치 하락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외국인 투자자들이 국내 주식과 채권에서 자금을 회수하는 ‘셀 코리아’ 현상이 심화되며, 달러화에 대한 수요를 높이고 있습니다. 이는 한국 경제의 대외 신뢰도를 약화시키고, 환율 불안정성을 더욱 키우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4. 대응 방안과 전망

한국 정부와 한국은행은 외환시장 안정화를 위해 시장 개입과 추가적인 금리 정책을 검토하고 있지만, 단기적 효과는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중장기적으로는 외국인 투자 유치를 위한 정책 개선과 수출 경쟁력 강화가 필요합니다. 전문가들은 지정학적 리스크가 완화되고 금리 격차가 줄어들 경우, 환율 상승이 점차 완화될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에서 환율 변동성은 계속 주의 깊게 모니터링해야 할 것입니다​.

 

결론

미 달러 환율 상승은 다양한 글로벌 및 국내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환율 상승이 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은 크기 때문에, 정부와 기업, 개인이 함께 적극적으로 대응 방안을 모색해야 할 시점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