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 활용 설정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1. 시산표란 무엇인가?
시산표(試算表, trial balance)는 회계 기간 중 거래 내용을 분개장과 총계정원장에 기록한 뒤, 각 계정의 잔액을 집계하여 차변과 대변이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표입니다. 즉, 회계상의 오류 여부를 점검하고 재무제표 작성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만들어지는 중간 점검표입니다. 일반적으로 분기 말이나 결산 전에 작성되며, 계정과목별로 차변 잔액과 대변 잔액을 나열하여 양쪽 합계가 일치하는지 확인합니다. 이로써 회계처리가 체계적이고 일관되게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AI 활용 설정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2. 시산표의 예시와 구조
예를 들어 한 기업의 시산표에 ‘현금 5,000,000원(차변)’, ‘외상매출금 3,000,000원(차변)’, ‘건물 20,000,000원(차변)’, ‘자본금 15,000,000원(대변)’, ‘매출 10,000,000원(대변)’이 기록되어 있다고 가정합시다. 이 경우 차변 합계는 28,000,000원, 대변 합계는 25,000,000원이 되어 일치하지 않게 됩니다. 이런 경우 회계 기록 중 오류가 있었음을 의미하며, 이를 수정하여 차변과 대변이 일치하도록 해야 합니다. 이상적인 시산표는 차변 총액과 대변 총액이 동일해야 하며, 이를 통해 회계 장부가 기본적으로 정확히 작성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3. 시산표에서 가장 중요한 원리: 대차평균의 원리
시산표 작성의 핵심은 ‘대차평균의 원리’입니다. 이는 회계에서 모든 거래는 반드시 차변과 대변이 동일하게 기록된다는 원리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현금을 사용해 상품을 구매했다면 상품계정(차변)과 현금계정(대변)에 같은 금액을 기입해야 합니다. 이 원리에 따라 시산표의 차변 합계와 대변 합계도 반드시 일치해야 하며, 불일치한다면 분개, 전기(계정기록), 합계 계산 중 오류가 있는 것입니다. 다만, 차변과 대변이 일치하더라도 거래를 잘못 기록했다면 시산표상 오류가 발견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맹신은 금물입니다.
4. 시산표 활용 문제와 해설
문제: 다음 계정과목이 주어졌을 때 시산표가 올바른가를 판단하시오.
- 현금 3,000,000(차변), 외상매출금 2,000,000(차변), 상품 1,000,000(차변), 자본금 4,000,000(대변), 매출 2,000,000(대변)
풀이: 차변 합계는 3,000,000 + 2,000,000 + 1,000,000 = 6,000,000원
대변 합계는 4,000,000 + 2,000,000 = 6,000,000원
→ 차변과 대변의 합이 일치하므로 시산표는 형식적으로는 올바르게 작성된 것입니다.
주의: 하지만 상품을 잘못 기록했거나, 자본금에 오류가 있다면 내용상 오류가 있을 수 있으므로, 시산표는 단순 검산 도구일 뿐, 전반적인 회계 정확성을 보장하진 않습니다.

#회계기초 #전산회계2급 #시산표
'경제·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스피 3000시대 최근 코스피 급등한 배경은 무엇인가? (3) | 2025.06.23 |
---|---|
기준금리 인하와 이재명 정부의 돈풀기 전략 어떻게 될까? (3) | 2025.06.15 |
이재명 대통령 당선과 기준금리 인하 주가폭등 주가전망과 어떤 주식? (4) | 2025.06.07 |
주식투자 기초 재무제표읽기 PER, ROE 쉽게 파악하기 (1) | 2025.06.01 |
"미중 관세 긍정적인 협상, 미국 주식 주가 증시 비트코인 폭등 시작 (3) | 2025.05.13 |